바로가기 메뉴
본문내용 바로가기

보도자료(성명서)

[보도자료] 제35회 분쉬의학상 본상에 서울의대 오도연 교수 선정
  • 관리자
  • 2025.11.21
  • 조회수 : 30

 

35 분쉬의학상 본상에 서울의대 오도연 교수 선정

 


- ‘본상오도연 교수, 담도암 분야에서 면역항암제 병용 치료 전략으로 환자 생존기간 연장 새로운 글로벌 표준치료법 제시  

- 젊은의학자상 가톨릭의대 병리학 김영광 조교수(기초부문), 기초과학연구원 진호경 선임연구원(임상부문) 선정

 

2025 11 12 - 대한의학회(회장 이진우) 한국베링거인겔하임(사장 안나마리아 보이) 35 분쉬의학상 수상자로 본상 오도연 교수(서울의대 내과학), 젊은의학자상 기초부문 김영광 조교수(가톨릭의대 병리학), 젊은의학자상 임상부문 진호경 선임연구원(기초과학연구원) 선정했다고 12 밝혔다.

 

35 분쉬의학상 본상 수상자로 선정된 서울의대 내과학 오도연 종양내과 교수는 위암, 췌장암, 담도암 소화기암 분야에서 신약 개발을 위해 생물학을 기반으로 치료 표적과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을 위한 전임상·중개·임상 연구를 폭넓게 수행해왔으며, 특히 담도암 치료에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고 세계 환자들의 생명 연장과 삶의 향상에 기여했다는 공로를 인정받았다.

 

A person in a black suit

AI-generated content may be incorrect.

35 분쉬의학상 본상 수상자 서울의대 내과학 오도연 교수

 

오도연 교수는 진행성 담도암에서 기존의 표준 항암화학요법에 면역항암제를 추가하여 환자의 종양반응률, 무진행생존기간, 전체생존기간 등에서 유의한 개선 효과를 확인한 연구자 주도 임상 2 연구를 진행했다. 해당 연구는 담도암에서 면역항암제와 세포독성항암제 복합요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세계 최초로 제시하였으며, 이후 글로벌 임상 3 연구까지 진행될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 교수는 글로벌 임상 3 연구의 글로벌 총괄 책임 연구자로 참여해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다시금 입증하며, 세계 담도암 표준치료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고, 환자들의 치료 성적을 개선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특히, 신약 개발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던 담도암 분야에서 다국적 제약사와 협업해 국내 연구자가 해당 분야의 임상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었다는 점과 해당 연구를 기반으로 10여년 만에 세계에 새로운 담도암 표준치료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공로를 인정 받았다.

 

오도연 교수는국내 최고 권위의 분쉬의학상 본상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영광이다. 함께 연구에 참여해주신 세계 모든 공동 연구자 분들께 감사 인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다양한 임상 연구를 통해 세계 환자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시할 있도록 노력하겠다 수상 소감을 밝혔다.

 

35 분쉬의학상 기초부문 수상자 가톨릭의대 병리학 김영광 교수

 

35 분쉬의학상 젊은의학자상 기초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가톨릭의대 병리학 김영광 조교수는 유전자 편집도구인 프라임 편집을 활용해 관련 유전자 변이의 기능적 효과를 대규모로 평가할 있는 'PEER-seq’ 기술을 개발하며, EGFR 변이의 티로신키나아제억제제(TKI) 내성 프로파일을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임상적으로 불확실한 변이(VUS, Variants of Uncertain Significance)에서도 약물 내성 여부를 평가할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해당 기술은 그간 밝혀지지 않은 여러 유전변이들의 기능을 평가하고 대응하는데 활용될 있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환자 유전체에 맞춘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35 분쉬의학상 임상부문 수상자 기초과학연구원 진호경 선임연구원

 

또한, 젊은의학자상 임상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기초과학연구원 진호경 선임연구원은 해부학적 복합성으로 밝히지 못한 뇌척수액 배출 경로를 명확히 규명함과 동시에 두개골 밖에 위치한 비인두 림프관망과 경부 림프관을 표적으로 뇌척수액 배출 기능이 증진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해당 연구는 침습적 뇌수술 없이 림프관 조절이라는 혁신적이고,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치료 전략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은 "국내 의료보건 환경의 발전과 환자의 삶의 개선에 기여하고, 한국 의학계 위상을 드높인 분쉬의학상 수상자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축하와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앞으로도 분쉬의학상의 취지를 살려 국내 의과학자들의 훌륭한 연구 업적을 발굴하고, 한국 의과학 발전을 도모할 있도록 더욱 힘쓸 이라 전했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안나마리아 보이 사장은각자의 위치에서 끊임없는 노력으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이룬 수상자 분들과 한국의 의과학 발전을 위해 힘써주신 모든 연구자 분들께 감사드린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환자들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 제공과 더불어 앞으로도 국내 의과학 연구 활동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이어나가겠다 전했다.

 

대한의학회가 주관하고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이 후원하는 분쉬의학상은 조선 고종의 주치의이자 국내 최초 독일인 의사인 '리하르트 분쉬(Richard Wunsch)' 박사의 이름에서 유래된 상으로, 한국 의학계의 학술발전을 도모하고 의학 분야에서 한국과 독일의 우호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1990 제정됐다. 객관적이고 엄격한 심사기준을 통해 국내 의학 발전에 주목할 만한 의과학 연구 업적을 남긴 의학자들을 선정, 시상하고 있으며, 국내 최고 권위의 의학상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 이상 의료 또는 연구에 종사했고 국내 의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는 의학자에게는분쉬의학상 본상, 학술적으로 가치와 공헌도가 인정되는 우수논문을 발표한 40 이하의 의학자에게는젊은의학자상 수여된다.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은 오는 11 25() 오후 6, 서울성모병원 플렌티 컨벤션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게시판 글 목록
번호 제목 등록자 등록일 조회수↓ 파일
54 [보도자료] 제10회 이민화 의료창업상 “장혁재 온택트헬스 대표(창업부문), 전성우... 관리자 2025-11-21 35
53 [보도자료] 제35회 분쉬의학상 본상에 서울의대 오도연 교수 선정 관리자 2025-11-21 30
52 [보도자료] 2025 대한의학회 필수의료 회복을 위한 정책 포럼 개최 관리자 2025-11-11 88
51 [보도자료] 분만 사고 관련 대한의학회 성명서 관리자 2025-09-11 644
50 [보도자료] 2025 대한의학회 의료윤리워크숍 개최 관리자 2025-09-09 575
49 [보도자료] 의학교육 및 수련교육 정상화를 위한 건의_한국의학교육협의회 관리자 2025-08-20 727 「“의학교육 및 수련교육 정상화를 위한 건의”」 원문 (2025년 8월 14일자).pdf
48 [보도자료] 수련협의체의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정에 대한 대한의학회 입장... 관리자 2025-08-08 863
47 [보도자료] 대한의학회 – 신임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회동 관리자 2025-07-22 821
46 [보도자료] 대한의학회-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MOU 체결 및 중개연구센터 ... 관리자 2025-07-04 711
45 [보도자료] 2025 대한의학회 학술대회 개최 관리자 2025-06-10 755 2025 대한의학회 학술대회 프로그램.pdf
44 [성명서] 5월 전공의 추가 모집 허용에 관한 공동 입장문 관리자 2025-05-20 841
43 [보도자료] 의학교육 정상화를 바라는 한국의학교육협의회 호소문 관리자 2025-04-02 935
42 [보도자료] 의학교육 정상화를 바라는 의료계 원로들의 호소문 관리자 2025-03-05 900
41 [성명서] 2026년 의대 입학정원 관련 한국의학교육협의회 성명서 관리자 2025-03-05 1,079
40 [보도자료] 보도자료-대한의학회-국민건강보험공단 MOU 체결 관리자 2025-02-27 1,007
39 [보도자료] 이민화 의료창업상 역대 수상자 초청 간담회 개최 관리자 2025-02-17 904
38 [보도자료] 2025년도 대한의학회 명예의 전당 헌액 관리자 2025-01-24 1,054
37 [보도자료] 제10회 대한의학회 의학공헌상 김건상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선... 관리자 2024-12-12 967
36 [보도자료] 여야의정협의체 탈퇴 관련 보도자료 관리자 2024-12-06 1,052
35 [보도자료] 비상계엄 포고령 관련 대한의학회 입장 관리자 2024-12-06 1,155

1 2 3 다음

검색분류 및 검색어 입력 양식